사진=포스코그룹
사진=포스코그룹

[코리아데일리 정다미 기자] 태풍 힌남노로 인한 냉천 범람으로 침수 피해를 입은 포스코가 피해를 완전 복구했다.

20일 포스코가 포항제철소 17개 모든 압연공장 복구를 완료하고 완전 정상 조업체제로 돌입한다고 밝혔다.

앞서 지난해 9월 6일 태풍 힌남노로 인한 폭우로 냉천이 범람하며 포항제철소가 모두 침수되는 사상 초유의 사태가 벌어졌다. 제철소를 다시 지어야 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있을 만큼 침수 피해가 심각했다.

지난해 말 15개 공장을 복구한 포스코는 지난 19일 도금 CGL(Continuous Galvanizing Line) 공장과 스테인리스 1냉연공장을 차례로 복구했다. 이로써 침수 135일 만에 제철소를 완전 정상화가 이뤄졌다.

포스코는 “포항제철소의 성공적인 복구 대장정을 통해 한 번도 경험해보지 못한 시련을 새로운 희망으로 바꿨다”며 “전 세계가 한국에 제철소 건설은 절대 불가능하다고 말했지만 포항제철소 건설을 완수하는 기적을 만들었듯이, 포스코는 포항제철소를 복구하면서 제2의 기적을 만들어냈다”고 자찬했다.

이러한 기적의 배경에는 임직원을 비롯한 협력사, 민·관·군, 지자체, 고객사 등 각계각층의 도움이 있다.

포항제철소를 살리기 위해 포항제철소 직원과 함께 광양제철소, 서울 포스코센터, 그룹사, 협력사 임직원들 모두 주말, 밤낮없이 발 벗고 나서 복구에 힘을 보탰다.

연인원 약 140만여 명의 헌신적인 노력과 명장 등 전문 엔지니어들이 보유한 기술력이 큰 힘이 됐다. 50년간 축적된 세계 최고의 조업·정비의 힘이 빛을 발했다. 명장들을 중심으로 물과 뻘에 잠긴 설비들에 대해 하나하나 정비 작업이 실시됐다.

국내외 설비 전문가들이 최대 170톤에 달하는 압연기용 메인 모터들을 1년 이내에 수리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고 단언한 바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를 직원들이 직접 분해하고, 세척·조립해 조업 정상화을 위한 초석을 다졌다.

민·관·군, 지자체, 고객사 등도 나서 복구를 지원했다. 소방청과 지자체에서 대용량 방사시스템, 소방펌프, 살수차 등을 지원했다. 해병대를 비롯한 군은 병력을 투입해 복구에 일손을 보탰다. 고객사들도 복구 장비를 지원하고 간식과 물품을 조달했다.

사상 초유의 위기 사태인 만큼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 관계에 있는 일본제철, 현대제철 등도 복구을 위해 손을 내밀었다. 이들은 긴급한 상황에서 선재 제품, 토페도카를 지원하며 철강업계의 끈끈한 의리를 보여줬다.

세계철강협회를 이끌고 있는 포스코그룹 최정우 회장은 세계철강협회 회장단으로 함께 활동 중이던 인도 JSW社 사쟌 진달(Sajjan Jindal) 회장의 협력을 끌어냈다.

제철소의 핵심인 2열연공장의 압연기 모터에 전기를 공급하는 장치인 모터 드라이브 총 15대 중 11대를 교체해야 하는 상황이었다. 하지만 단기간 내 공급이 여의치 않아 정상화에 1년 이상이 소요될 것으로 점쳐졌다. 이에 최 회장의 요청으로 인도 JSW社가 자사 열연공장용으로 제작 중이던 설비를 포스코에 선뜻 양도해 복구 일정을 대폭 줄일 수 있었다.

최정우 회장은 복구 마무리 작업이 한창이던 지난 10일 포항제철소를 찾았다. 그는 “단 한 건의 중대재해 없이 포항제철소 조기 정상화를 이뤄낸 임직원들 모두가 포스코의 자랑스러운 영웅”이라고 공로를 치켜세웠다. 향후에도 안전을 기반으로 행복한 일터를 만들어 줄 것을 주문했다.

이어 “포스코를 응원해주시고 지원해주신 정부, 지자체, 국민들 모두에 깊은 감사를 드린다”며 “국가경제 활성화에 막중한 책임감을 가지고 파트너들과 함께 힘차게 나아가겠다”고 덧붙였다.

포스코는 향후 정상 가동 설비를 대상으로 생산 안정화 및 효율성 향상에 역량을 집중할 방침이다. 민관합동 철강수급 조사단의 권고에 맞춰 재난 대비 체계를 다시 점검, 보완할 예정이다.

포스코는 임직원 모두의 일치된 열정과 위기 극복 DNA를 바탕으로 지속가능한 100년 기업으로 도약할 것이라 의지를 다졌다.

한편 포스코는 복구에 심혈을 기울이는 가운데 고객사·공급사·협력사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책도 함께 실시했다. 이를 통해 고객사의 수급 불안감을 해소하고 철강산업 생태계 보호에 앞장섰다.

포스코는 광양제철소 전환생산, 해외 사업장 활용, 타 철강사 협업 공급 등 창의적이고 도전적인 솔루션을 찾았다. 일대일 맞춤형 대응계획을 수립하고 수급 상황을 고려해 공장 복구에 박차를 가했다.

또 ‘철강ESG상생펀드’ 및 ‘상생협력 특별펀드’를 재원으로 25개 수해 피해 기업들에게 437억원의 유동성을 지원했다. 이와 별도로 24개 협력사에 대해 202억원의 신규 설비 구매자금을 지원하고 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코리아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