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5개 저축은행 3분기 순익이 지난해보다 모두 감소
리스크 관리 위해 모든 것을 중단하면 자금의 선순환 조차 막혀 
예대마진 축소가 수익성 악화의 주요 원인이 돼 
취약 차주의 고금리 대출을 재조정하는 정책에 초점을 맞춰야

대출금리가 상단(연 20%)에 막힌데다 수신금리가 오르면 그 만큼 수익이 줄어드는 구조다. 여기에 고금리로 대출을 받은 사람은 이에 따른 이자 부담을 감당하지 못해 연체율까지 높아졌다. 자산 규모 기준 상위 5개 저축은행의 3분기 순익이 지난 해보다 감소했다. 여기에 중소 건설사가 자금 악화로 도산하는 등 부동산 PF시장에 불어닥친 한파까지 거세다. 내년 전망은 더 어둬 보인다.

저축은행 상황이 심상치 않다. 저축은행의 경영실적이 빠르게 악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올해 기준금리가 급격하게 오르면서 예대마진(예금·대출금리 차이)이 축소된 것이 수익성 악화의 주요 원인이다. 여기에 레고랜드 사태에 고금리까지 겹친 탓이다. 따라서 저축은행에 돈을 맡긴 사람은 불안할 수 밖에 없다. 

최근 부동산 시장이 가파르게 악화되면서 일부지방의 중소형 저축은행을 중심으로 부동산·건설 관련 대출의 연체율 지표가 악화되고 있다. 수도권 중심의 대형저축은행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동산 PF 등의 대출 규모가 크지 않은 중소형 건설사에서는 사업장 한 두곳만 부실이 되어도 연체율이 껑충 뛰게 된다.

저축은행이 리스크 관리를 위해 모든 것을 중단하면 자금의 선순환조차 막아버릴 수 있다. 건전한 정상 사업장에 대한 자금 지원 기능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

지난해 말 이후 전반적으로 가계대출은 다소 줄어드는 추세지만, 금리 상승기에 채무 불이행 등 부실 가능성이 가장 큰 다중 채무자(3곳 이상 금융기관에서 대출)의 비중은 오히려 더 커졌다.

코로나19 여파가 길어지면서 자영업자 등 한계에 이른 차주들이 저축은행을 비롯한 2금융권 등에서까지 돈을 빌렸기 때문이다. 그리고 기준금리 인상과 함께 대출금리가 계속 오르면서 이자 부담을 감당하지 못하는 다중 채무자들이 속출하여 금융위기의 원인이 될 수 있다. 결국 대출은 진정되지만, '금융위기 뇌관' 다중채무자 비중은 더 커지는 위험이 따른다.

비은행권 등 금융기관은 대출 건전성 저하 가능성에 대비해 충당금 적립, 자본확충 노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금융당국도 취약 차주의 신용위험 확대가 금융안정을 저해하지 않도록 금융과 소득 측면에서 취약계층을 중심으로 선별적으로 지원해야 한다. 정부당국도 다중 채무로 어려움을 겪는 자영업자, 청년, 저소득층 등 취약 차주들의 고금리 대출을 재조정하는데 정책의 초점을 맞춰야 한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코리아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