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국토교통부
사진=국토교통부

[정다미 기자] 화물연대의 무기한 총파업이 9일째를 맞은 가운데 이로 인한 피해 상황이 국민 생활에도 속속들이 나타나고 있다.

지난 11월 24일 0시 기준으로 민주노총 전국공공운수노동조합 화물연대본부가 총파업에 들어가 9일째 파업이 이어지고 있다. 같은 달 28일과 30일 정부와 화물연대의 1·2차 협상이 진행됐으나 입장 차이만 확인하고 결렬됐다.

정부는 1차 협상 결렬 다음 날인 지난달 29일 시멘트 분야 운송거부자를 대상으로 한 업무개시명령을 발동했다. 2차 협상도 결렬되자 정부는 추가 대화 거부를 비롯해 안전운임제 폐지, 운송거부자 유가보조금 제외 등 초강경 대응에 나서겠다는 입장이다.

강대강으로 맞붙는 정부와 화물연대의 사이에 낀 소비자들의 피해가 우려된다. 장기화되는 파업에 산업계의 피해 상황도 불어나고 있다.

산업통장자원부는 1일 기준 5대 철강사(포스코, 현대제철, 동국제강, 세아제강, KG스틸) 누적 출하 차질 금액이 약 8700억원에 달한다고 추정했다. 철강업계 전체로는 약 1조1000억원의 피해를 추정했다. 파업 7일 차였던 지난달 말 기준으로는 시멘트 976억원(97.6만톤), 자동차 3192억원(6707대), 정유 4426억원(259,238kl) 등으로 피해 규모를 추산했다.

전국에 재고 소진 주유소가 늘어가며 일반 소비자들에게도 화물연대 파업의 영향이 느껴지고 있다. 한국석유공사가 운영하는 오피넷에 따르면 2일 오후 2시 기준 재고 소진 주유소는 총 60개다. 종류에 따라 휘발유 41개소, 경유 13개소, 휘발유·경유 6개소로 집계됐다. 지역 별로는 서울이 22개로 가장 많았고, 경기 16개, 충남 11개, 충북 3개, 강원 4개, 전북 2개, 인천 1개, 세종 1개 등으로 조사됐다.

앞서 1일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은 재고가 소진된 서울 관악구 소재의 주유소를 방문했다. 그는 “집단운송거부로 유조차 운행이 중단되면서 휘발유 재고가 바닥난 주유소가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으며, 이는 집단운송거부로 인한 피해가 산업계를 넘어 국민의 일상으로까지도 확산되고 있는 것”이라 강하게 비판했다. 이어 “정부는 기름대란 방지를 위해 유류품 재고 및 수급상황 등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피해가 확산될 경우 업무개시명령 추가 발동 등 가능한 모든 수단을 동원할 계획”이라고 거듭 단호한 입장을 밝혔다.

화물연대는 “안전운임제 시행 전 10년 동안 평균 시멘트 화물노동자의 평균임금 인상율은 –14%였다. 발암물질인 시멘트 분진을 마셔가며 하루 6시간이 넘는 무노동 대기를 참아야 했다. 화주는 톤당 운임 체계를 강요하며 과적을 유도해 브레이크를 밟을 때마다 아찔한 기분으로 30톤에 가까운 시멘트를 싣고 도로를 달렸다”며 “다른 산업에 비해 화주의 숫자가 적고 강한 카르텔이 형성돼 있어 화주의 권력이 절대적이다. 안전운임제도는 화물노동자의 유일한 방패이자 무기다. 없다면 우리는 다시 노예의 삶으로 돌아가야 한다”고 토로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코리아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