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물연대 관계자들의 '생존권' 문제...반면 경제 둔화에 '기름칠'할 수도
글로벌 복합위기 상황... 물류대란 악재 겹치면서 경제성장 '빨간불' 켜져

24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의 기준금리 베이비 스텝(기준금리 0.25%포인트 인상) 단행으로 사상 첫 여섯 차례 연속 금리인상이다. 고(高)금리에 내년까지 5%대의 고(高)물가 속에서 내년 경제 성장률도 2.1%에서 1.7%로 하향조정됐다. 허리띠를 졸라매지 않을 수 없다. 고물가와 고금리가 지속되면서 소비가 제약되고 수출 둔화로 성장세가 약화되기 때문이다. 

지난 2020년 4%에 달했던 경제 성장률은 2년 연속 꺾여 완연한 저성장 기조로 접어들었다. 이런 와중에 조합원 2만5000여 명이 참여하는 민주노총 전국공공운수노동조합 화물연대본부(이하 화물연대)가 안전운임제 지속 및 일몰제 폐지를 요구하며 이날부터 총파업에 들어갔다. 전국 물류 운송에 초비상이 걸렸고, 우리나라 경제 둔화에 '기름칠'을 하고 있다.

화물연대 관계자들에겐 '생존권' 문제로 이해할 수 있다. 하지만 고물가·고금리·고환율 등 '3고(高)'로 인한 내수 침체 가능성이 있기에 지난 6월 겪었던 물류 대란의 악몽이 올 연말 다시 한번 재연될 수 있는 어려운 시기다. 

이에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 23일 '제1차 수출전략회의'를 통해 “글로벌 복합위기 상황에선 수출 증진으로 위기를 정면 돌파해야 한다. 앞으로 직접 수출전략회의를 주재하며 우리나라 경제 핵심 동력인 수출 증진에 대한 전략, 풀어나가야 할 문제점을 점검하겠다"고 언급했다.

하지만 우리나라 경제를 버텨온 수출이 부진하면서 저성장 기조가 이어지는 가운데, 화물연대의 총파업 결정에 따른 물류 대란이란 악재가 겹치면서 우리나라 경제에 '빨간불'이 켜졌다.

지난 6월 화물연대 파업으로 이미 한 차례 물류대란을 겪었기 때문에 산업계에서는 우려와 비판이 함께 나온다. 이번 역시 화물연대의 총파업으로 수출에 차질이 발생할 수 밖에 없다. 총파업에 따른 피해액은 2조 원을 넘길 수 있다는 비관적인 전망도 나온다.

화물연대가 집단운송 거부의 이유로 내세우는 안전운임제 지속 문제는 이미 국회를 중심으로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이번 조합원의 생존권을 위한 화물연대의 총파업은 자칫 민생경제에 찬물을 끼얹고 경제 성장동력의 불씨를 꺼뜨릴 수 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코리아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