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환 능력이 악화되면서 채무 불이행 우려...한계기업 늘어날 수 있어
자금 조달이 어려운 기업들, 금리 대출에 기댈 수 밖에 없어 
금리인상 속도 조절로 기업 대출의 부실화 방지해야

팬데믹 이전 10년간 연평균 4.1% 증가한 반면, 팬데믹 이후 올해 상반기까지 연평균 12.9% 증가율을 기록했다. 코로나19 이후 기업 대출이 눈덩이처럼 불어난 수치다. 국내 기업들의 대출에 부실 경고등이 켜졌다는 의미다. 전국경제인연합회가 31일 발표한 '기업대출 부실징후 및 대응방안' 보고서다. 

이날 전경련이 기업 대출의 부실 징후로 코로나 이후 급증한 대출, 기업의 상환능력 악화, 높은 변동금리 비중, 부동산 등 취약 업종으로의 대출 쏠림현상, 비은행 기관을 통한 대출 증가 등 5가지 요인을 지적했다.

기업 대출이 크게 늘어나는데다 상환 능력이 악화되면서 채무 불이행이 우려되고 있다. 또한 기업 대출은 변동금리 대출이 대부분인 것으로 나타났다. 높은 대출금리에 허덕일 수 밖에 없다.기업 10곳 가운데 7곳 이상(72.7%)이 변동금리 대출이다. 기업의 고정금리 대출은 10곳 중 2∼3곳(27.3%)에 불과할 정도다.

앞으로도 은행권의 기업 대출은 당분간 빠른 속도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채권시장 자금 경색으로 채권 발행을 통한 자금 조달이 어려워진 기업들이 결국 은행을 통한 금리 대출에 기댈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은행의 기업 대출 급증에 따른 부실 위험을 걱정하는 목소리도 크다. 급증하는 기업 대출 자체가 중장기적으로는 또 다른 금융위기의 도화선이 될 수도 있다.

앞으로 대출 금리가 계속해서 오르면서 기업 부도가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 기업 대출이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국내외 경기가 둔화되고, 대출금리는 인상,그리고 환율·원자재가격 상승 등으로 경영 여건이 나빠지면 기업 전반의 이자 상환 능력이 약해져 당연히 한계기업은 상대적으로 늘어나게 마련이다.

미국의 공격적 금리 인상에 따른 국내 기준금리의 추종이 불가피하지만, 기업들의 자금 사정이 급속히 악화되고 있어 금리 인상의 속도 조절로 기업 대출의 부실화를 방지해야 한다. 그리고 유사시 기업 유동성을 확충할 수 있는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코리아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