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들의 소통 · 공감 역량으로 학교폭력 이해도를 높이고 
학교폭력 대처 방법을 익히도록 해야 교육시키야  
올바른 행동을 위한 실천 중심의 예방 교육 '절실'

학교폭력 실태 전수조사에서 피해 응답률이 1.7%인 5만4000명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육부가 전북을 제외한 16개 시·도 교육청이 초4∼고3 학생들을 대상으로 '2022년 1차 학교폭력 실태 전수조사'를 실시한 결과다.

이번 피해 응답률은 2021년 1차 조사 대비, 0.6%포인트, 코로나19 확산 이전에 실시된 2019년 1차 조사 대비 0.1%포인트 높은 수치다.

코로나19 이후 일상회복으로 학교수업이 정상화하면서 학교폭력 피해도 함께 증가한 것이다.

초등학생은 중· 고생보다 학교폭력 감지 민감도가 높은 데, 수업 정상화로 상호작용이 증가하면서 습관성 욕설과 비속어 등을 '폭력'으로 인식했을 수도 있다.

학교폭력 피해 유형별로는 '언어폭력을 당했다'는 응답자가 41.8%로 가장 많았고, '신체폭력(14.6%)'과 '집단따돌림(13.3%)'이 그 뒤를 이었다.

모든 학교급에서 언어폭력 비중이 가장 높고, 초등학교와 중학교는 신체폭력(각 14.6% · 15.5%), 고등학교는 집단따돌림(15.4%)이그  뒤를 이었다.

피 · 가해 유형 모두에서 집단따돌림 비중이 줄고 가해를 '주로 여럿이 했다'는 응답 비중도 감소(1.0%포인트 하락)하는 등 2021년 1차 조사 대비 집단 폭력이 줄어드는 추세를 보였다.

교육부은 코로나19로 지난 2년간 대면 접촉 감소로 발생한 학생들의 사회성 · 공감 능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자 적극적으로 지원을 아끼지 않아야 한다.

학교 뿐만 아니라 가정, 그리고 주위에서도 학생들이 감정을 조절하는 능력이나 스트레스를 다루는 방식을 익힐 수 있도록 사회적 관심을 가져야 한다.

교육부가 학교 폭력에 대한 학생부 기재 · 관리를 강화하기 위해 초 · 중등교육법 시행규칙을 손질하고 내년부터 경찰청과 함께 자가진단 · 신고 · 상담 기능을 하는 학생 보호 애플리케이션을 만들어 시범 운영한다고 한다. 

학교가 일상을 회복하는 지금이 교내 폭력 예방을 위해 중요한 시점이다. 학생들의 소통 · 공감 역량을 기르고 학교폭력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학교폭력 대처 방법을 익힐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교육 공동체 모두가 학교 폭력의 심각성과 학교폭력 예방의 필요성에 공감하고, 학교와 지역사회 차원에서 학교폭력 예방을 위해 힘을 모으는 것이 중요하다. 학교폭력에 대한 민감성을 높이고, 방관하지 않고 올바르게 행동할 수 있도록 실천 중심의 예방 교육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코리아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