먹고 사는 일은 삶의 기본 전제이다. 한 국가 공동체는 더 말할 나위가 없다. ‘식량주권’, ‘식량안보가 운위되는 이유이다. 근래 글로벌 식량 가격이 사상 최대 수준을 보여 쌀을 제외한 기타 주요 곡물을 수입에 의존하는 우리로서는 여간 큰 걱정이 아니다.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유엔식량농업기구(FAO) 식량가격지수(FFPI)는 전달보다 대비 12.6% 오른 159.3포인트를 기록했다. 이는 해당 지수를 도입한 1996년 이래 최고치다. 지난달 세운 신기록을 한달 만에 다시 경신했다.

우크라이나 사태의 직격탄을 받은 곡물과 유지류의 가격 급등세가 전체 지수를 끌어올렸다. 그러지 않아도 급등하는 물가오름세에 식량마저 폭등하면 서민 생계는 더욱 힘들어진다. 농업 당국은 밀·콩 등의 국내 생산과 비축을 확대해 나가는 한편 민간 업체의 해외 곡물 공급망 확보 지원 등 식량안보를 위한 중장기 정책 방안도 강구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히고 있다.

하지만 농촌 현실은 열악하다. 농촌은 지난 20여년 사이에 인구가 80여만명이나 줄어들었고, 노인 1명에 아이 3명밖에 되지 않는 등 초고령화 사회이다. 또한 농가빈곤율 분석자료(한국농촌경제연구원)를 보면 2020년 시장소득 기준 농가의 절대빈곤율은 40%대로 10여년 전에 비해 10%p 높아졌다. 반면 이 기간 도시근로자의 빈곤 비율은 4.4%1%p 정도만 높아졌다.

농업 경쟁력 향상을 위해 선택과 집중으로 미래 첨단 농업을 육성하는 등 과제가 적잖다. 생산량 예측을 통한 농산물 제값받기, 다양한 품종 개벌과 소출 증대 등이 주요 방안이다. 이를 위해선 최첨단 과학기술을 활용한 농업이 긴요하다.

인공지능(AI)을 접목한 2세대 스마트 팜 개발을 들 수 있다. 스마트 팜은 온실에 정보통신기술(ICT), 빅데이터 분석, 사물인터넷(IoT) 기술 등을 접목해 기상정보, 온실 내부의 환경정보, 작물의 상태정보를 파악해 분석하고, 그 결과에 따라 시설 내부 환경을 농작물에 최적의 상태로 제어하는 재배시설을 말한다. 윤석열 차기 정부는 각급 지방자치단체와 함께 농민이 잘사는 길을 제시하는 데 무엇보다 힘쓰길 당부한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코리아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