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원인:①최저임금 급등 ②고용경직성 ③경기침체→전망:코로나19로 일자리 양과 질 동반악화 가능성, 최저임금 동결 등 특단 대책 시급

▲ 한국경제연구원 홈페이지 캡처

[코리아데일리=김유경 기자]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지난 11년간 국내 고용의 질적 수준이 주요국에 비해 가장 빠른 속도로 나빠지고 있다.

한국경제연구원(원장 권태신, 이하 ‘한경연’)이 ‘OECD 노동력통계’를 활용하여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11년간(2008년~2018년) ‘3050클럽 7개국주1)’의 주 30시간 미만 시간제근로자 추이를 분석한 결과, 한국의 시간제근로자주2)  수 연평균 증가율은 4.0%로 비교대상 국가 중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근로자에서 차지하는 시간제근로자 비중도 한국은 2008년 9.3%에서 2018년 12.2%로 2.9%p 올라 증가폭이 일본(4.3%p↑, 19.6%→23.9%) 다음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주1) 1인당 국민소득 3만 달러, 인구 5,000만 명 이상인 국가(한국, 일본, 미국, 프랑스, 이탈리아, 독일, 영국) 2) 국가별 기준이 달라 주 30시간 미만 근로를 ‘시간제(part-time)근로’로 정의(OECD,「노동력통계」)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우리나라는 최저임금 급증에 따른 사업주의 인건비 부담 가중 및 재정일자리 확대 등으로 인해 단시간 근로자 증가 속도가 주요국보다 현저하게 빠르다”라며, “기업의 생산성, 지불능력 등을 고려한 최저임금 결정이 필요하고, 규제완화 등을 통한 기업 활력 부여로 민간의 고용창출여력을 제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2008~2018년 한국의 시간제근로자 연평균 증가율 4.0%, 미국의 약 6배

2008년부터 2018년까지 ‘3050클럽 7개국’의 주 30시간 미만 시간제근로자 수 연평균 증가율은 평균 1.4%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국 시간제근로자 수 연평균 증가율은 4.0%로 3050클럽 국가 중 가장 높았으며, 뒤이어 ‣일본 2.4% ‣이탈리아 1.3% ‣프랑스 1.2% ‣영국·독일 0.9% ‣미국 0.7% 순으로 나타났다.

2018년 기준 한국의 주 30시간 미만 시간제근로자 수는 322.3만명으로 2008년 216.9만명 대비 48.6%(+105.4만명) 급증하였다.

이에 따라 한국의 시간제근로자 비중(시간제근로자 수/전체 근로자 수)은 2008년 9.3%에서 2018년 12.2%로 2.9%p 증가하였는데, 이는 3050클럽 7개국 평균 증가폭(1.2%p)의 2.4배에 달하는 수치다.

3050클럽 국가별 시간제근로자 비율의 증가폭은 ‣일본 +4.3%p(2008년 19.6%→2018년 23.9%) ‣한국 +2.9%p(9.3%→12.2%) ‣이탈리아 +2.0%p(16.0%→18.0%) ‣프랑스 +1.0.%p(13.0%→14.0%) ‣독일 +0.2%p(21.8%→22.0%) ‣영국 +0.2%p(23.0%→23.2%) ‣미국 -0.1%p, 12.8%→12.7%) 순이었다.

 

▶최저임금 급등이 가장 큰 원인, 코로나19로 고용의 양과 질 동반악화 불가피

한경연은 주요국 중 한국의 시간제근로자 수가 가장 빠르게 증가한 이유로, ‣급격한 최저임금 인상과 이에 연동된 주휴수당 등 인건비 부담 증가 ‣고용경직성(과도한 정규직 보호, 높은 해고비용 등) ‣경기침체 장기화에 따른 기업의 고용여력 위축을 꼽았다.

또한 코로나19로 고용의 양과 질 측면에서 급격한 동반악화가 예상되는 만큼, 최저임금 동결 등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한 특단의 대책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코리아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