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지’ 숨겨진 유례 얽힌 사연 아세요?

[코리아데일리 이규희 기자]

21일 찬바람이 불어오면서 22일 동짓달을 맞이한다.

동짓달은 동지라는 절기가 속해있는 달이기 때문에 동짓달이라 부르며 올해 동지는 양력 12월 22일에 돌아오는데 맛있는 팥죽과 함께 추운 겨울을 이겨 내기 위해서 그 유례가 주목을 받고 있다.

동지날 먹는 팥죽은 각 지역마다 새알심을 넣기도하고 칼국수를 넣기도 한다.

▲ 잡귀와 액을 막아준다는 동지팥죽 한 그릇으로 올 한해 안 좋았던 기억들을 다 떨쳐내는 게 덕담이다.

한편 동지는 절기상으로는 24절기중 22절기에 해당하는데 일년중 밤이 가장 긴 날이며 옛날 사람들이 이 날을 기준으로 다시 해가 길어지기 때문에 '태양이 죽었다가 다시 살아나는 날'이라며 축하하는 잔치를 열던 풍습에서 기원한 것으로 전해져 내려온다.

이날은 새알심을 넣은 붉은 팥죽을 조상께 올리며, 태양이 살아 돌아왔음을 축하하는 잔치를 열고, 또 귀신을 쫓아내서 다음해에도 무사하기를 빌었다

또 동지의 다른 이름은 '아세' 또는 '작은설'이라고도 부르며 옛날 중국의 주나라와 당나라, 우리나라의 신라나 고려는 동짓날을 설로 삼았었다.

설이 현재와 같이 된것은 충선왕때 원의 수시력으로 바꾸면서부터이며 태양의 부활이라는 의미로 인해 작은설로 대접받은 덕에 '동지팥죽을 먹어야 진짜 나이 한 살을 먹는다'는 말이 지금도 전해지고 있다.

궁중에서는 동짓날 임금과 신하들, 왕세자가 모여서 회례연이라는 잔치를 베풀었고, 매해 중국에 축하예물과 함께 동지사를 파견했다

민간에서는 뱀사 蛇'자를 거꾸로 써붙이는 동지부적으로 잡귀를 막기도 했으며 동짓날에는 날씨가 온화하면 다음해에 질병으로 많은사람이 죽는다고해서 눈이 많이오며 춥기를 바랬다

22일 먹는 동지팥죽에는 나이의 숫자대로 새알심을 넣어서 먹는다.

옛 어른들이 붉은빛의 팥죽이 질병과 잡귀를 쫓아내는데 효과가 있다고 믿어서 팥죽을 쑤어먹기도하고 집안 곳곳에 뿌리기도 했다.

옛날에도 경사나 재앙이 있으면 팥으로 죽이나 밥, 떡을 해서 먹는 풍습이 있었는데 그 풍습이 아직도 일부가 남아있다.

가령 고사를 지낼때 팥으로 떡을 지어서 제사를 지내고 아이가 태어나면 붉은 팥으로 수수단자를 만들어 잡귀를 쫓는 등의 풍습이 남아있는 것이 동지의 유례에서 전해진 것이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코리아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