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분양 공포가 전국적으로 확산 추세
건설사 분양 전략 새판짜기 골몰...분양가 활인 등
중도금 대출 무이자 등 청약률 높이기 위해 고심

이른바 '로또판'으로 불리던 부동산 청약시장 열기가 급격하게 가라앉았다. 분양을 눈앞에 둔 건설사들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발등에 불이 떨어진 건설사들은 미분양 아파트를 해결하기 위해 분양 전략 새판짜기에 머리가 아프다고 한다.

최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전국 미분양 주택(6월말 기준)은 전월(2만7375가구) 대비, 2.0% 증가한 2만7910가구로 집계됐다. 전년(1만6289가구) 동월과 비교해서는 71.3%(1만1621가구) 늘었다. 집을 다 짓고도 주인을 찾지 못한 '준공 후 미분양'도 전월(6830가구) 대비, 4.4%(300가구) 증가한 7130가구로 집계됐다.

가뜩이나 건설 원자재 급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건설사들은 지역 특성에 맞는 특화설계 적용과 중도금 대출 무이자, 발코니 무상 시공 혜택 등 청약률을 높이기 위해 고심하고 있다. 분양가 할인은 물론, 계약을 해지해도 전액을 돌려주는 혜택까지 등장할 정도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치솟는 기준금리 인상과 대출규제, 경기침체에 대한 우려 등 복합적인 원인으로 주택시장이 침체되면서 미분양 주택도 늘고 있는 것이다. 

특히 미분양 물량도 올해들어 상승세다. 브랜드 아파트들도 미분양을 피하지 못할 정도로 분양 시장이 크게 위축됐다. '미분양 공포'가 전국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당분간 분양시장의 옥석가리기가 뚜렷해질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부동산 정책에 대한 변동성과 불확실성이 해소되기 이전까지는 분양시장의 양극화 현상이 이어질 수도 있다.

최근 정부가 향후 5년간 인허가 기준, 전국에 270만 가구를 공급할 계획을 밝힌 부동산 8·16 대책 또한 시큰둥한 반응이다. 재건축부담금과 안전진단 기준 완화 방안, 신규택지와 청년원가주택의 입지, 1기 신도시 재건축 마스터플랜 등 주요 정책의 방향은 제시됐지만 세부 내용은 후속대책으로 미뤄 구체성이 떨어진다는 것이다.

때문에 정부도 계속해서 증가하는 미분양 물량에 대해 변화하는 경기 상황과 수급 상황을 종합적으로 분석해 공급 대책에 반영해야 한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코리아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