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27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또다시 '자이언트스텝(기준 금리 0.75%포인트 인상)'을 단행했다. 이에 미국 기준금리는 2.25~2.50% 수준으로 인상됐다.

한국 기준금리(2.25%)보다 상단기준으로 0.25%포인트 높아졌다. 2020년 2월 이후 약 2년 5개월 며만에 한미 기준금리가 역전되면서 국내 증시와 채권 시장 등에서 외국인 자본이 유출될 것이라는 우려가 높다.  미국 연준은 인플레이션 진정을 위해 초강수를 뒀고, 공급망 문제와 식량, 에너지 가격의 상승 등 '가격 상승 압박' 때문에 금리를인상했다.

이로 인해 국내에 미치는 영향은 불가피하다. 하지만 증권가에서는 7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 결과는 예상 수준으로,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밝힌 '향후 연준이 금리인상의 속도를 늦출 수 있다'고 시사한 점은 국내 증시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한미 금리 역전에도 환율 안정화 영향으로 외국인 자본 유입이 지속될 것으로 보고 있다.

현재 한국의 대외신인도나 경제 기초 여건을 보면 자금 유출 가능성이 별로 없다고 전문가들은 진단한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도 최근 금융통화위원회 직후 기자간담회에서 "한미 금리 역전 자체가 문제가 된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며 "과거에도 금리 역전이 된 경우가 세 차례가 있었고, 단순히 격차가 얼마나 벌어지는지 보다 이로 인한 신흥국으로의 파급 효과와 외환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 판단해야 한다"고 분석했다.

그리고 과거에는 한미 금리 역전 됐어도 바로 자본유출이 되지 않다가 상당기간 지난 후 자본유출이 시작됐는 데, 이번에는 한미 기준금리 역전 이전부터 외국인 자금이 빠져 나갔다는 점에서 과거와 자본 흐름이 다르다.

외국인 자본유출보다는 오히려 미국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원화 가치 하락과 물가 급등, 무역적자 등으로 인한 경기 침체를 더 우려된다. 글로벌 인플레이션 장기화에 따른 각국 중앙은행의 공격적 대응으로 경기침체가 가시화 될 가능성에 더 유의해야 한다.

미국의 공격적 기준금리 인상으로 한국의 기준금리 인상이 불가피하다. 그러나 가계 등 민간의 취약한 금융 방어력을 고려해 인상폭을 최소화해야 한다. 국내 기준금리 인상폭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미국의 기준금리 수준이 가장 중요하지만 원화 가치 안정도 절대적이다. 기업경쟁력 제고와 원자재 수급 안정을 통한 무역수지 흑자전환 등으로 외환시장에 달러 공급이 늘어날 수 있도록 금융 정책을 펴야 한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코리아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