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에는 거의 천 여 개에 육박한 각종 언론사가 존재한다. 대한민국 역사의 영욕을 함께 한 몇몇 대형 언론사부터 각양각색의 특색이나 성격을 띤 크고 작은 인터넷 언론사들이 산적해 있는 현실이다. 세상은 매일 다양한 사건과 사고가 일어나면서 돌아간다. 이에 많은 언론사들이 나름의 방식과 방편으로 소식을 전하고 그 속에서 저널리즘의 메카를 꿈꾼다.

더불어민주당이 '포털 뉴스 규제법'을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아웃링크 방식의 뉴스 소비 방식은 득보다 실이 많고 현재 독자들이 뉴스를 소비하는 방식과 언론 생태계를 외면한 법안이라는 지적을 받고 있다. 이에 따라 법안이 공식적으로 결정되기 까지는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더불어민주당 의원 전원은 지난 4월 27일 포털의 자체적 뉴스 배열과 추천 서비스를 금지하고, 포털이 뉴스 서비스 내에 유통할 정보나 주체를 선별할 권한을 박탈하는 취지의 '정보통신망법 개정안'을 발의했다.

개정안은 포털의 자체 기사 추천 및 편집을 제한하고 이용자가 검색 및 언론사 구독시에만 뉴스 서비스를 실시할 수 있다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언론사의 홈페이지를 통해서만 뉴스를 열람할 수 있고 이용자의 위치 정보를 활용해 지역 언론사의 기사가 우선 노출될 수 있는 기술적 조치다. 현재 이 법안은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가 심사 중이어서 어떤 결론이 내려질 지 귀추가 주목된다.

지난 23일 한국인터넷신문협회 주최로 '포털 뉴스 규제를 정한 정보통신망법개정안의 내용과 쟁점' 토론회가 열렸다. 이날 토론회는 언론사의 홈페이지를 통해서만 뉴스를 소비할 수 있도록 하는 아웃링크 방식의 폐해가 특별히 화두였다.

우리나라 대표 검색 포털인 네이버는 과거에 뉴스캐스트와 뉴스스탠드 방식을 사용했다. 네이버는 지난 2009년 아웃링크 방식의 뉴스캐스트를 도입하며 뉴스 편집에서 손을 떼고 언론사들이 자체적으로 편집한 뉴스 상자를 차례로 노출시켰다. 하지만 이 방식은 언론사들의 과도한 트래픽 경쟁을 일으키는 주범으로 자리했고, 독자들을 끌어들이는 낚시성 제목과 선정적인 편집을 유발시켰다.

이후 2013년 뉴스스탠드를 도입했다. 뉴스스탠드는 뉴스캐스트처럼 개별 기사 단위가 아닌, 언론사별 뉴스 플랫폼이 제공되고 이용자가 각 언론사 뉴스를 구독할 수 있게 한 서비스였다. 하지만 이 또한 뉴스캐스트와 별반 다르지 않은 폐해를 일으켰다는 지적을 받았다.

사실 언론사들은 구독하는 소비자들에 의해 존재 가치가 있다. 그러기에 그만큼 경쟁이 치열하다. 하지만 일반 소비자들은 여전히 네이버 인링크 방식을 선호하며 대부분의 알 권리를 충족시키고 볼거리를 해결한다. 아웃링크는 포털의 기사 검색 결과를 클릭하면 해당 언론사의 홈페이지로 이동하는 방식이다.

반대로 인링크는 ‘네이버’나 ‘다음’과 같은 포털 안에서 소비하는 방식이다. 이에 따라 민주당에서 추진하는 개정안은 자율 규제를 위축시키고 현재의 언론 환경을 외면한 방식이라고 지적을 받았다. 거기에다 해외의 규제에서 찾을 수 없는 방법이라는 지적 또한 있었다.

현재 중소 언론사에게도 인링크 형태의 포털을 통한 기사를 독자들에게 노출 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일부 대형 언론사는 아웃링크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거기에 이용자가 몰릴 수밖에 없고 대표적으로 네이버가 상징적인 뉴스 제공자라는 인식으로 자리잡았다. 포털이 그만큼 다양한 언론사의 기사를 독자들에게 제공될 수 있는 기회를 주는 역할을 한다는 의미다.

국민 70%가 포털을 통한 뉴스 보기를 선호한다는 조사 결과가 있었다. 하지만 아웃링크를 의무화한다면 이용자는 무차별적인 상업 광고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안 그래도 기사 한 개를 읽기 위해서는 수많은 배너나 그림 광고를 떼 내는 수고를 거쳐야 가능하다. 이는 극소수의 언론사가 시장을 독점하거나 기사형 광고가 범람하는 등 뉴스 품질을 떨어뜨리는 원인이기도 하다.

언론계에서는 언론사들이 포털을 벗어나야 한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급작스러운 아웃링크의 의무화는 부작용이 있다는 반대의 목소리와 팽팽하게 대립하고 있다. 특히 일각에서는 아웃링크 방식이 뉴스 소비자를 감소시키고 뉴스 시장의 황폐화를 야기시킬 수 있다고도 하지만 이 또한 단정할 수는 없다. 일단, 방식을 두고 설왕설래하기보다는 뉴스를 생산하는 단체와 그 밖의 전문가와 미디어 이용자들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하는 노력이 먼저일 것이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코리아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