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물류·인프라·인력 확보 애로
이전한다면 대전·세종·충청 희망
전경련 “장애물 없어지도록 정부·지자체 노력 필요”

그래프=전국경제인연합회
그래프=전국경제인연합회

[코리아데일리 정다미 기자] 기업의 대다수가 지방 이전 계획이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교통·물류·인프라가 불편하고 인력 확보가 어렵다는 이유다.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시장조사 전문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국내 매출 상위 1000대 기업을 대상으로 ‘기업의 지방 이전 및 지방 사업장 신증설에 관한 의견’을 조사했다. 이 중 152개사가 응답한 내용을 바탕으로 한 결과를 발표했다.

응답 기업 중 89.4%는 지방 이전 계획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려한 적 없음’이 84.8%로 가장 많았고, ‘고려했으나 계획 없음’이 4.6%로 집계됐다.

이전 가능하다고 답한 기업은 10.6%에 그쳤다. 7.9%가 ‘이전 완료’라 답했으며, ‘현재 고려 중’이 2.0%, ‘제도지원 시 고려 가능’이 0.7%로 나타났다. 지방으로 이전을 했거나 검토 중인 시설은 ‘생산공장’(43.8%), ‘본사’(31.3%), ‘영업소’(18.8%), ‘연구소’(6.1%) 순이었다. 그 이유로는 ‘사업 확대 용이’(29.2%), ‘교통·물류 환경 등 입지가 좋아서’(27.1%) 등으로 나타났다.

기업들은 지방 이전의 가장 큰 장애 요인으로 시간·비용 증가 등 ‘교통·물류 애로’(23.7%)를 꼽았다. 이어 기존 직원 퇴사 등 ‘인력 확보 애로’(21.1%), ‘규제’(12.3%), ‘사업장 부지 확보 애로(12.1%)’, 숙소·학교·병원 등 ‘생활 인프라 부족’(9.2%), ‘이전 비용’(7.0%)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업종별로 제조업은 ‘사업장 부지 확보 애로’(13.5%), ‘규제’(13.0%)가, 서비스업은 ‘생활 인프라 부족’(12.8%)이 높게 나타났다.

기업들은 지방 이전에 필요한 인센티브로 ‘교통·물류 인프라 지원’(22.8%), ‘인력 확보 지원’(18.6%)을 꼽았다. ‘세제 혜택 및 설비투자 지원’(14.5%), ‘규제 및 제도 개선’(12.9%), ‘사업장 부지 제공’(12.1%), ‘생활 인프라 지원’(8.6%) 등의 의견도 나왔다. ‘생활 인프라 지원’은 서비스(11.6%)이 제조업(7.9%)보다, ‘규제 및 제도 개선’은 제조업(14.6%)이 서비스업(5.1%)보다 많았다.

이전 희망 권역으로 과반수가 넘는 기업들이 ‘대전·세종·충청’(55.3%)을 선호했다. 그 뒤를 이어 ‘부산·울산·경남’(16.4%), ‘대구·경북’(11.2%), ‘강원’(8.6%), ‘광주·전라’(6.6%), ‘제주’(1.9%) 순이었다. 이들 지역을 선택한 이유는 ‘교통·물류 인프라’(60.5%), ‘넓은 부지’(13.2%) 등이다.

지방과 해외를 비교했을 때는 어떨까. 지방의 사업 환경이 해외에 비해 좋다는 응답은 35.5%(‘매우 좋음’ 6.6%, ‘다소 좋음’ 28.9%)에 불과했고, 57.9%가 ‘별 차이가 없다’고 응답했다. 지방이 해외보다 안 좋음도 6.6%도 집계됐다.

지방이 해외에 비해 나은 점으로는 ‘교통·물류 인프라’(29.7%), ‘세제 혜택 및 투자지원’(21.0%), ‘생활 인프라’(11.1%), ‘관련 업체와의 협력 용이’(11.1%), ‘고급인력’(9.9%) 등이 있다. 반대로 지방이 해외에 비해 취약한 점은 ‘높은 인건비’(38.4%), ‘교통 물류상의 애로’(23.1%), 전기요금·부담금 등 ‘높은 생산비’(15.4%), ‘높은 세율’(7.7%), ‘행정 지원 부족’(7.7%), ‘높은 임대료’(7.7%) 등의 의견이 나왔다.

전경련 유환익 산업본부장은 “교통·물류 인프라와 인력 문제가 지방 이전의 가장 큰 장애물인 것으로 나타났다”며 “기업들이 지방으로 이전하면 지역 경제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으므로 교통·물류 애로, 인력 확보 애로 등 지방 이전을 가로막는 장애물이 없어지도록 정부와 지자체에서 지속적으로 노력해주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코리아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