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전국경제인연합회
사진=전국경제인연합회

[코리아데일리 정다미 기자] 한국 대기업들의 글로벌 시장 경쟁력이 우려된다.

27일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최근 5년(2017~2021년)간 포춘 글로벌 500(Fortune Global 500)에 포함된 한국, 미국, 일본, 중국 기업의 경영실적을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포춘 글로벌 500은 매년 전 세계 기업의 매출액을 기준으로 글로벌 500대 기업을 선정한다. 포함된 기업 수를 비교했을 때 중국은 2017년 109개에서 2021년 135개로 26개 늘어 500대 기업 보유수에서 미국을 누르고 세계 1위로 올랐다. 미국은 132개에서 10개 감소해 122개를 기록했다. 같은 기간 일본은 51개에서 2개 늘어 53개를 기록했고, 한국은 15개로 변동이 없었다.

해당 기업들을 총 20개 업종별로 나눈 결과 중국의 업종별 세계 1등(매출액 기준) 기업 수는 2017년 3개에서 2021년 6개로 3개가 늘어났다. 반면, 같은 기간 중 미국의 업종별 세계 1등 기업 수는 12개에서 8개로 4개가 줄었다. 지난 5년간 중국이 선두에 오른 3개 업종(항공우주&국방, 산업재, 운송)은 모두 기존에 미국 기업들이 1위를 차지하고 있었던 분야이다. 일본은 1개로 변화가 없었고, 한국은 여전히 업종별 세계 1등 기업이 나타나지 못했다. 삼성전자는 ‘테크’ 업종으로 분류됐으며 미국 애플에 이어 2위를 기록했다.

최근 5년간의 매출액과 순이익의 성장률을 비교해 봤을 때 한국은 4개국 중 꼴찌였다. 글로벌 500대 기업 내 한국 기업의 합산 매출액은 2017년 7458.8억달러에서 2021년 8044.4억달러로 연평균 1.9% 성장했다. 다만 같은 기간 중 중국은 10.3%로 크게 성장했으며, 미국(3.3%), 일본(2.1%)의 성장에도 못 미쳤다.

순이익도 2017년 418.4억달러에서 2021년 403.4억달러로 연평균 △0.9%의 마이너스 성장률을 기록하며 꼴찌 자리를 차지했다. 같은 기간 중 플러스 성장률을 기록한 중국(10.9%), 일본(5.4%)은 물론 미국(△0.7%)보다 더 큰 폭으로 하락한 것으로 집계됐다.

전경련은 한국 기업들의 R&D 투자 규모가 상대적으로 미흡한 것을 그 이유로 꼽았다. 글로벌 500대 기업 중 한국 기업들과 같은 업종 내 세계 선두 기업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다. 한국 기업이 포함된 제조업 5개 업종 내 한국 선두 기업의 R&D 집중도(매출액 대비 R&D 비용)는 테크 업종의 삼성전자를 제외하면 전부 세계 선두 기업보다 저조했다. 삼성전자의 R&D 집중도는 9.1%로 세계 선두인 애플(6.6%)보다 0.7배 많았다. 원자재 업종 포스코 0.2%(세계선두 중국 오광그룹 2.1%. 10.5배), 화학 업종 LG화학 0.7%(독일 바스프 3.5%. 5배), 자동차&부품 업종 현대차 1.3%(일본 토요타 4.2%. 3.2배), 에너지 업종 SK(주) 0.5%(중국 State Grid. 1.2배)로 집계됐다.

추광호 전경련 경제본부장은 “한국 대표기업들의 경영지표가 주요국에 비해 부진하고, 수출 경쟁 관계에 있는 중국 기업들이 빠르게 부상하고 있어 세계 무대에서의 기업 경쟁력이 위축될 수 있다”며 “R&D 지원 확대 및 신산업 발굴·지원으로 우리 기업들이 차세대 성장동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돕고, 과도한 규제를 개선·완화해 해외기업들과 공정하게 경쟁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코리아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