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악의 경우 등록말소, 상폐 위기
개인 매수세는 장중 한때 15% 상승
사건 혼동에 막연한 기대 심리 반영

국토교통부가 광주 아파트 붕괴사고의 시공사인 HDC현대산업개발에 대해 영업정지 1년 혹은 등록말소 처분을 내려줄 것을 서울시에 요청한 28일 오후 서울 용산구 HDC현대산업개발 본사에서 직원들이 이동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국토교통부가 광주 아파트 붕괴사고의 시공사인 HDC현대산업개발에 대해 영업정지 1년 혹은 등록말소 처분을 내려줄 것을 서울시에 요청한 28일 오후 서울 용산구 HDC현대산업개발 본사에서 직원들이 이동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코리아데일리 나승우 기자, 뉴시스] 현대산업개발이 광주에서 연달아 2건의 붕괴 사고를 내면서 최소 ‘8개월 영업정지’, 최대 ‘등록말소’ 위기에 처했다. 즉 최소 매출 90% 손실을 입거나 최악의 경우 현재의 현산이라는 기업이 사라질 수 있다. 하지만 개인 매수세에 힘입어 주가는 오히려 강세를 보였다.

지난 2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전일 HDC현대산업개발은 0.33% 상승한 1만 5150원에 거래를 마쳤다. 장중 3.31% 오르기도 했다.

심지어 지난 30일 서울시에서 지난해 6월 광주 학동 붕괴사고로 ‘8개월 영업정지’ 행정처벌을 내렸음에도 주가는 장중 한때 15%나 상승했다.

영업정지 처벌은 해당 기간에 신규 수주만 불가능할 뿐 이전에 계약하거나 착공한 건은 그대로 진행할 수 있다. 이에 현산은 집행정지 가처분신청과 행정처분 취소소송으로 대응했다. 결과는 나오지 않았지만 일단 현산은 오는 18일부터 8개월 동안 영업이 정지된다. 이 경우 최근 매출액의 90%에 달하는 3조 400억원의 손실을 입게 된다.

또한 이 사건으로 영등포구청에서 ‘하수급인 관리의무 위반’ 행정처분을 이달 중 받아야 한다. 여기에 올초 광주 서구에서 발생한 화정동 붕괴사고 처벌도 서울시와 광주 서구에서 각각 6개월 내 추가로 받게 된다.

총 3건의 처벌이 추가되는 것이다. 서울시에서 받게 될 화정동 처벌은 국토부가 ‘엄중한 처분’을 요구한 만큼 ‘등록말소 또는 영업정지 1년’ 중 ‘등록말소’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만약 등록말소가 적용되면 현산이란 기업이 사라지게 된다. 물론 다른 이름으로 기업을 만들 수는 있다. 그러나 현산이 그동안 쌓아온 ‘도급순위 9위’란 건설 실적과 ‘아이파크’ 브랜드는 사라진다. 영업정지 처분을 받더라도 기존 8개월에 더 추가가 된다면 수조 원의 손실이 예상된다.

또한 최근 국세청 특별세무 조사를 받았다. 국세청은 서울 용산구 현산 본사에 직원들을 파견해 관련 자료 등을 확보했다. 이번 조사는 일반 정기 세무조사가 아닌 비정기 특별 세무조사를 전담하는 서울지방국세청 조사4국이 맡았다.

그러나 연이은 악재에도 주가는 하락 대신 강세를 보이는 기이한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광주에서 사고가 났던 당시 급락하던 주가가 오히려 행정처분이 가시화하는 현재 보합 내지 소폭 상승하는 이유에 대체로 개인들의 매수세에 힘입어 오르는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 28일부터 기관은 꾸준히 매도하고 있지만, 개인은 지난 1일을 제외하고 매수세를 보였다. 특히 8개월 영업정지를 발표한 지난 30일 기관과 외국인이 서둘러 매도할 때 개인의 매수세에 힘입어 장중 한때 15% 상승했다.

무엇보다 우선 일부 투자자들이 이번 행정처분을 화정동 사건과 혼동한 것으로 예상된다. 온라인 종목게시판에는 화정동 사건으로 ‘등록말소’가 나올까 우려하다 ‘영업정지 8개월’이 나오자 “솜방망이 처분”, “지금이 저점 매수 기회”라며 매수에 나선 모습이 포착됐다. 이런 글에는 “이건 화정동이 아니라 작년 학동 사건”, “화정동은 6개월 뒤 결과가 나온다. 구분 잘하고 투자하시라”라는 댓글이 달렸다.

또 다른 이유에 막상 서울시가 ‘등록말소’나 그 이상의 심한 조치를 내릴 수 없을 것이란 심리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현산이 대기업인 만큼 많은 이들의 밥줄이 달려있고, 등록말소 처벌이 성수대교 사건 이후 한 번도 실시된 적이 없기에 실제로 서울시가 단행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이유다. 현산은 현재 서울시 처벌에 대해 가처분신청과 행정처분 취소소송을 걸었다. 토론방에는 “가처분 받아들여지면 상한가”, “막상 서울시도 현산 눈치볼 듯” 등의 글이 올라왔다.

특히 가장 무거운 처벌이 예상되는 서울시의 화정동 관련 처분까지는 약 6개월이란 긴 시간이 남아있어, 그 사이 주가 반등의 기회를 엿보는 것으로도 보인다. 심지어 한 투자자는 청와대 국민청원에 게시물을 올려 “인재사고가 2번이나 났는데 국토부 발표에 주가가 떨어져 화가 치밀었다. 회장만 믿고 투자한 소액주주들은 무슨 죄냐”라며 “금융감독원은 이런 인재사고에 대한 주주보호 제도를 만들어달라”고 촉구했다.

일부 투자자 사이에서 국세청 세무조사도 악재가 아닌 “사고가 나면 그제야 외양간 고치는 정부”, “뭐 세무조사 한두 번 안 한 기업 있나”, “별 것 아닌 요식행위일 뿐” 등 조롱조의 반응을 보였다.

투자업계에서는 앞서 붕괴사건이 발생했을 때 주가가 이미 급락한 만큼 개인투자자 사이에서 현재 주가가 저점이란 인식이 퍼져있는 것으로 예상했다. 이에 오는 15일 ‘8개월 영업정지’가 시작되기 전, 또는 영등포구청에서 이달 중 발표될 행정처분이 치명적인 수준으로 나오기 전까진 투자심리에 큰 타격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코리아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