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규민 한국교육과정평가원장이 22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202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행 기본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이규민 한국교육과정평가원장이 22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202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행 기본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코리아데일리 나승우 기자] 올해 11월 17일 치러지는 202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이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문·이과 통합으로 치러지게 되면서 선택과목에 따른 대입 유·불리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

상대평가인 수능 특성상 어떤 선택과목을 고르고 어떤 학생들과 경쟁하느냐에 따라 표준점수와 등급이 달라질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실제로도 문·이과 통합형 수능을 치르면서 수학에 강한 이과생들이 상대적으로 좋은 성적을 거두고 대입에 유리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지난달 서울시교육청 중등진학지도연구회에 따르면 서울 22개 주요 대학 중 8개 대학 인문계열에서 이과생의 교차지원 비율이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현재 수능 수학 영역에서 ‘확률과 통계’, ‘미적분’, ‘기하’ 3과목 중 하나를 택할 수 있다. 이과생들이 지원하는 주요 대학 자연계열 학과는 ‘미적분’과 ‘기하’, 과학탐구 영역을 보고 있다. 

지난해 수능에서 서울대를 비롯한 거점국립대 10개교의 정시 최초 합격자 현황을 분석한 결과, 인문계열 338개 학과 중 204개 학과에서 미적분·기하 응시자가 나왔다. 절반이 넘는 60.4%였다. 서울대에서는 26개 학과 중 25개(96.2%) 학과에서 교차지원 합격자가 나왔다.

선택과목에 따른 대입 유·불리 현상이 실제로 작용하고 있다는 뜻이다. 평가원은 “유·불리 현상이 완전히 극복되기는 어렵다”는 입장이다. 평가원은 “수학을 잘하는 학생들이 높은 점수를 받을 가능성은 있으나 그로 인해 집단적으로 문과생이 불리하고, 이과생이 유리하다는 해석은 주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그러면서도 평가원은 “유·불리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선택과목별 난이도에 따른 편차를 상쇄하게끔 변환된 표준점수를 산출하겠다”며 “통합형 수능의 취지에 맞게 문항이 출제되고 있다. 출제과정에서도 난도 조절에 신중을 기하겠다”고 전했다. 

실제 지난해 대입이 이과생에게 유리하게 진행됐음에도 “해석에 주의해달라”는 평가원이 이 상황에 대해 조금 더 진지하게 받아들일 필요가 있어 보인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코리아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