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동진 경성대 교수, '시기한정과 유산 대상 지역 축소' 지적

일본 사도(佐渡) 광산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추진 저지 홍보물 (사진=사이버외교사절단)
일본 사도(佐渡) 광산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추진 저지 홍보물 (사진=사이버외교사절단)

[코리아데일리 이주옥기자] 일본이 사도(佐渡) 광산의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를 추진하고 있다. 이 과정에 시기를 에도 시대(1603~1868년)로 한정하고, 유산 대상 지역도 축소했다는 지적이 나와 논란이 되고 있다. 이러한 사실은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 심사 과정에서 사실 왜곡이 발생할 수 있는 만큼 일본 정부의 정확한 설명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강동진 경성대 도시공학과 교수는 최근 발간한 '세계유산의 등재조건과 일본의 행태'라는 리포트에서 "사도광산에 있어, 유산의 적용 시기를 특정 시기로 한정하고 3개소 9건에서 2개소 3건으로 축소한 것은 메이지시대 이후의 변화에 대한 치명적인 한계와 약점을 은폐하기 위한 것으로 밖에 추정할 수 없다"고 밝혔다.

이어 "강제동원과 관련된 역사 은폐' 또는 '강제동원의 논쟁을 피하기 위한 술수이며 산업유산은 개념적으로 어느 한 시대의 상황을 대변하는 화석화된 유산이기보다는 탄생에서 산업기능이 멈출 때까지 전체 작동과정이 모두 인정되는 '진행형 유산'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이에 현존하는 유산의 탄생 시기를 탄생하기 전 과거 시기(에도시대 이전) 만을 평가대상으로 한다면 산업유산의 기본 속성과 가치 평가에서 큰 오류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일본은 마쓰우라 고이치로 전 유네스코사무국장이 "사도광산에서 다시 조선인 강제노동과 유사한 사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라는 지적에 사도광산을 등재 추진 유산에서 제외한 적이 있다. 이후 2020년 사도광산의 적용 시기를 에도시대까지로 단축하고 연속 유산의 대상들을 축소한 '사도섬의 금산(佐渡島の金山)'이란 이름의 신청서를 문화청에 제출했다.

강 교수는 "탁월한 보편적 가치로 반복되어 적시된 400년이 넘는 변천 역사에 대한 강조는 사도광산이 어느 특정시대(에도시대 이전)에 국한되지 않으며 메이지, 다이쇼, 쇼와 시대를 포괄하는 광산임을 반증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한 "일본이 시기를 한정하고 자산을 축소한 점에서 일본의 책략적 접근이 인지된다."라고 지적했다.

한편 사도섬의 금산(Sado island Gold Mines)은 1939년부터 조선인이 강제동원 됐고, 태평양전쟁(1941~1945년) 기간 동안 금이 아닌 구리·철·아연·납 등 전시 물자를 생산하는 광산으로 활용됐다.

강 교수는 "사도광산은 강제동원은 분명한 사실이며 어떤 교묘한 반전의 논리와 속임수가 있는지 알 수없는 만큼 이번만큼은 세계유산 등재를 막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코리아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