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화에술위원회, '공정한 문학 창작생태계 조성을 위한 국내 문학상 운영 실태조사' 연구 결과 공개

우리나라 문학상 대부분이 심사 관련 기준과 구성 여부에서 미흡하다는 결과가 나왔다. (사진=한국문화예술위원회)
우리나라 문학상 대부분이 심사 관련 기준과 구성 여부에서 미흡하다는 결과가 나왔다. (사진=한국문화예술위원회)

[코리아데일리 이주옥기자] 지난해 우리나라에서 시행한 문학상은 총 249개였다. 이중 85%에 해당되는 212개는 심사 관련 기준과 구성 여부에 대한 언급이 없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한국문화예술위원회는 24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공정한 문학 창작생태계 조성을 위한 국내 문학상 운영 실태조사' 연구 결과를 공개했다.

예술위원회는 지난 2020년 '문학 분야 불공정 관행 개선을 위한 실태조사'에 이어 2021년에는 국내에서 운영되는 다수 문학상에 대한 실태조사를 벌였다.

조사 연구는 지난해 8월 말부터 올해 초까지 약 4개월여에 걸쳐 진행됐으며 문학상 수상 관련 정책문건 분석, 문학 분야 전문가 서면면담 및 심층면접, 창작인과 출판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실시 및 분석, 전문가 집단토론회 등으로 이루어졌다.

2021년 문학상 현황 자료수집 분석 결과 2018년 문학실태조사 보고서에서 448개로 조사한 국내 문학상 수가 2021년 기준 249개가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2020, 2021년에 운영한 353개의 문학상을 조사한 결과, 문학상은 문학단체를 중심으로 단독으로 이루어지거나 혹은 정부 및 지자체, 출판사와 함께 공동으로 운영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고 문학상 249개 중 212개는 심사 관련 기준 및 구성 여부에 대한 언급이 없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창작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는 총 264명의 응답자 중 문학 분야에 입문하게 된 경로로 신춘문예 당선이 59명(22.3%)으로 가장 높았고 이어 신인문학상 수상이 49명(18.6)%, 작품집 출간이 33명(12.5)%의 비율로 나타났다. 이 중 문학상 지원 경험은 응답자의 202명(76.5%)이 있다고 응답했다.

이중 문학상이 '실질적 작가의 자격 관행처럼 인식되고 있다'는 응답은 81명(40.1%)으로 가장 높았고, '공신력 있는 출판사에서 당선작을 책으로 출간하기 위해서'라는 응답이 55명(27.2%)으로 문학상이 여전히 전통적인 작가로 인정을 받는 통로로 작동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문학상 운영 주최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는 '기성작가의 좋은 작품을 대중에게 소개하거나 신인작가 발굴'이 주요한 목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문학상 심사방식은 '예심위원 위촉과 예심내용 공개 이후 본심 진행'이나 '편집부 자체 운영 예심제도' 형식을 가장 많이 채택하고 있으며, 3심제가 그 뒤를 따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정한 문학상 운영을 위해 가장 시급한 문학상 제도 변화에 대해서는 '응모작 심사기준의 정확한 공지'가 가장 높았다.

그 뒤로 '운영전반에 대한 개선 필요', '공모전 모집 방법', '계약체결의 투명화 및 제도화', '수상작 및 작가 처우', '상금 지급 또는 수령방식의 변화' 순이었다. 전반전으로 문학상 제도의 개선에 시급한 조치가 취해져야 하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었다.

보고서는 현재의 문학상 운영 문제점을 개선하고 공정한 문학상 운영을 위해 문학상 작품선정, 심사를 위한 가이드라인 제공, 심사위원 풀 공유하는 등 문학상 제도개선을 위한 가이드라인 개발 및 보급, 문학상 출품작 아카이브 설립, 소통 플랫폼 제공 등 불공정 사례 및 피해자 보호 지원, 문학상 출품작 아카이브, 계약서 디지털화 등 온라인 기반 DB구축, 표절, 저작권 보호를 위한 문학인 대상 전수자료 조사를 통한 정기적 현황조사 등 개선점을 제안했다.

예술위 관계자는 "앞으로도 문학 분야의 창작자와 출판사 관계자들의 의견을 청취하는 자리를 마련하고, 표준계약서 사용에 대한 안내 및 설명회 개최를 비롯해 창작자들을 대상으로 저작권 교육을 시행하는 등 문학 분야의 공정한 생태계 조성을 위해 출판계와 함께 노력할 예정"라고 밝혔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코리아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