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는 ‘비표’와 ‘바리케이드’ 없어지고 모든 국민에게 개방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하면서 9년 간의 갈등 종식

▲ 불타오르는 제37년 광주 5·18민중항쟁 전야제. 코리아데일리 DB

문재인 대통령 취임 후 처음 치르는 제37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식이 예년과 비교해 확 바뀐다.

허가된 사람만 입장하는 ‘비표’가 사라지고 식전행사와 기념공연이 추가된다. ‘임을 위한 행진곡’를 제창하면서 9년 간의 갈등을 종식하고 경과보고는 광주지방보훈청장 대신 5월 단체장이 한다.

국가보훈처는 18일 오전 10시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5·18민주묘지에서 ‘5·18정신을 계승, 정의가 승리하는 대한민국’이란 주제로 제37주년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을 개최한다.

식전 공연에 이어 개식, 국민의례, 헌화·분향, 5·18민주화운동 경과보고, 기념사, 기념공연,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 순서로 1시간 동안 진행한다.

올해는 ‘비표’와 ‘바리케이드’가 없어지고 모든 국민에게 개방한다. 신분증만 있으면 누구나 들어갈 수 있다.

국민 모두 참여할 수 있도록 해 민주화 역사를 기념하는 장으로 만든다는 취지인데 문재인 정부의 개방성을 재확인할 수 있다.

초대 대상도 대폭 확대했다. 5·18민주유공자와 유족뿐만 아니라 2·28민주운동, 4·19혁명, 4·3유족회, 세월호 유가족 등 민주화운동에 참여했거나 연관 단체를 대거 초대했다.

기념식 참석 인원은 과거 3000명 안팎에서 올해는 1만명 이상으로 크게 늘어날 전망이다.

기념식 식순에선 ‘경과보고’를 5·18 단체장이 직접 발표한다는 것이 달라진 부분이다. ‘경과보고’는 5·18의 발생 배경과 전개 과정을 보고하고, 민주화와 공동체 세상의 의미를 공유하는 순서다.

올해부터 경과보고 발표를 5월 3단체장이 다시 하게 된 것이다. 올해 발표자는 김후식 5·18부상자회 회장이다.

가장 큰 변화는 사전공연과 기념공연이 추가되고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이 식순에 포함됐다는 점이다.

올해는 식전행사로 20분 정도 공연을 한다. 광주시립합창단 60여명이 출연해 ‘꽃들에게 희망을’과 ‘아침이슬’ 등 2곡을 선보이고 가수 김용진이 ‘솔아솔아 푸르른 솔아’를 부른다. 기념공연은 김소형의 ‘슬픈생일’에 이어 가수 권진원와 전인권이 출연해 ‘그대와 꽃피운다’와 ‘상록수’를 부른다.

‘상록수’는 지난 박근혜 국정농단 사태로 탄핵을 요구하는 촛불집회에서 불렸던 노래다. 촛불정신을 5월 정신으로 이어가겠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기념공연이 끝나면 ‘임을 위한 행진곡’은 공식식순에 포함돼 참석자들이 모두 함께 힘차게 부르는 제창으로 진행한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코리아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