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동 진성이씨 종택’.사진=문화재청 제공

문화재청은 ‘안동 진성이씨 종택’과 ‘봉화 선성김씨 빈동재사’를 국가지정문화재 국가민속문화재로 지정 예고했다고 27일 밝혔다.

‘안동 진성이씨 종택’은 진성 이씨의 ‘대종가’로 고려말 문신 송안군 이자수가 14세기에 종택의 현재 위치인 두루마을(안동시 풍산읍 마애리)에 터를 잡아 노년을 보냈다고 전해지며 7대손 이훈(1467~1538)에 의해 대대적으로 이건 중수했다.

건물은 본채, 별당, 사당, 행랑채, 방앗간채, 내삼문으로 구성됐다. 종택의 맨 앞쪽에 一자형 행랑채가 전방 조망을 방해하지 않도록 오른쪽으로 빗겨 배치돼 있고 그 뒤쪽에 본채가 양측 날개채를 둔 완전 口자형으로 자리 잡고 있다. 본채의 왼쪽에는 별당(경류정)이, 오른쪽에는 방앗간채가 있고, 본채 뒤편 왼쪽 높은 곳에 내삼문과 사당이 있다.

별당 앞마당에 있는 수령 약 600년의 뚝향나무(천연기념물 제314호)는 종택의 역사를 보여주고 있다.

▲ 봉화 선성김씨 빈동재사.사진=문화재청 제공

‘봉화 선성김씨 빈동재사’는 조선 세종대 천문학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던 당대 최고의 천문학자 선성김씨 7대손 김담(1416~1464) 선생의 묘지를 수호하기 위한 재사로 최초 창건 시기는 알 수 없으며 1753년에 중건됐다.

안동 문화권에서 집중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口자형 중에서 측면에 누(樓)를 둔 형태의 본채 건물 1동으로, 구조 양식적으로 18세기 이전에 주로 나타나는 기단, 창호, 지붕 형식 등이 잘 보존돼 있다. 코쿨(조명과 난방용으로 쓰던 흙으로 된 벽난로)‧흙등잔대 등은 희소한 가치 뿐 아니라 재사건축의 양식사에도 중요한 의미를 가진 귀중한 자료다.

문중에서는 조상의 묘소를 수호하는 재사를 문중 차원에서 전승하기 위해 ‘선성김씨삼소운영위원회(宣城金氏三所運營委員會)’를 두고 전통제례 방식으로 보존‧관리하고 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코리아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