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진해운 “엎친 데 덮친 악재” 줄 잇는 퇴출 위기

[코리아데일리 심민재 기자]

한진해운이 휘청거리는 가운데 작년 6조원의 손실을 입은 국내 대형들에게 이미 발주한 해양 플랜트 프로젝트를 취소한다는 해외 선주사들의 통보가 줄줄이 날아들고 있어 ‘엎친 데 덮친 악재’가 줄을 잇고 있다.

이는 올 해 들어 수주 가뭄으로 선박 건조 도크가 비고 있는 한진해운을 비롯한 조선소들에게 엎친 데 덮친 것과 같은 재앙이고 이로인해 한진 해운은 채권단 공동관리(자율협약)을 신청키로 했지만 채권단 지원을 받지 못할 처지에 놓였다.

▲ 퇴출위기에 봉착한 한진 해운 (사진출처=뉴스1)
한진해운은 대주주의 희생 등 자구노력을 포함한 경영정상화 방안을 함께 내놓기로 했지만, 이런 구체적인 계획 없이 덜컥 채권단 관리만 받겠다고 밝혀 끝없는 해운업계의 불항이 가속화 되기 때문이다.

채권단 관계자는 25일 “한진해운이 자구계획을 포함한 포괄적인 경영정상화 방안을 제대로 제출하지 않았다”며 “제대로 된 정상화 방안 제출이 이뤄지지 않는다면 자율협약 신청은 반려할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재계의 한 관계자는 “조선업과 해운의 불황은 앞으로가 더 문제다. 그동안은 해놓은 수주가 있어 이럭저럭 버텼으나 근래에 수주가 뚝 끊기면서 내년부터는 조선소들이 조업을 중단해야 할 판이다”면서 “조선소와 해운에 근무하는 사람들만 30만명에 달한다. 이들을 어떻게 할 것인가, 대단히 심각한 상황이나 이를 해결할 제대로 구조조정을 할 수 있을지 의문이다”고 업계의 심각성을 이야기 했다.

아런 우려가 현실로 나타나자 이들 업종이 집결돼 있는 부산과 울산, 경남 등 동남권 경제벨트가 초긴장 상태이고, 사태의 심각성은 지역 경제에 큰 손실을 주고 있다.

업계와 정부는 선박과 해양플랜트 신규 수주가 급감하면서 '조선 빅3'를 중심으로 한 해운업계에 기업인수·합병(M&A) 등을 통한 구조조정 움직임과 함께 대규모 인력 감축이 불가피한 것으로 보고 해법 마련에 고심을 하고 있다.

조선업과 해운업계의 불황이 장기화되면서 거제에서는 이미 지난해부터 올 3월까지 대우조선-삼성중공업 양대 조선소 협력사 45곳이 폐업했고, 울산에서는 20여 개의 협력사가 문을 닫았다.

원청업체에 떨어진 불똥은 부산으로도 튀었다. 한국은행 부산본부의 최근 조사에 따르면 부산지역 조선기자재 업체 333개 사 중 20개 사가 조업 단축에 들어갔고, 선박수리업 124개 중 9개사는 휴업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구조조정이 본격화되면 사정은 더욱 악화될 것으로 전망돼 지역 협력업체들의 '도미노 부실'마저 우려되는 실정이다.

한편 해운업계의 한 전문가는 “한진해운의 여파로 해운업계가 붕괴위기에 처했고, 그 결과 부산항도 국제항구의 위기를 상실하면서 쇠락할 것이다”면서 “현대상선과 국내 1위 해운사인 한진해운은 채권단 자율협약을 신청하면서 내년에 재편될 해운동맹(얼라이언스)에서 탈락해 주요 수출입 항로를 잃을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며 현재 국내 컨테이너 화물의 85%를 처리하는 부산지역 업체 3천655곳의 종사자 4만4천명의 일자리가 위협받고 있는 것이다.”고 우려했다.

현재 글로벌 해운사들은 4개의 해운동맹(2M·CKYHE·G6·03)을 만들어 아시아 유럽·미주 대서양 등 세계 주요시장 항로를 과점하고 있다. 내년에는 4개 해운동맹이 2M과 오션 등 2개로 재편되는데 국내 양사는 경영악화로 퇴출 위기에 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때 글로벌선사들이 미주항로(아시아~미주)와 유럽항로(아시아~유럽)의 중간 기착지를 부산항에서 일본 도쿄·오사카항과 중국 상하이·홍콩항으로 각각 바꿀 수 있다. 이 경우 부산항과 관련된 매출액은 지난해 기준 3억7천422만달러(4천279억2천57만원)에서 1억6천72억달러(1천837억8천332만원)으로 급감하는 것으로 한국선주협회는 분석해 업계의 불항의 부채질하고 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코리아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