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점 높아지는 저소득 엥길지수 출구가 없다'

[코리아데일리 신선호 기자]

경기가 어려워지면 오락비 등 문화생활를 위한 소비를 줄인다. 그렇지만 필수품인 먹는 것의 소비는 쉽게 줄일 수가 없다.

전체 소비 지출 중에 식료품비의 비중이 크다는 것, 즉 엥겔지수가 높다는 것은 먹는 것 외에 다른 곳에 지출할 여유가 없다는 것을 뜻한다.

소득수준이 높아지면 엥겔지수는 하락하고, 소득수준이 낮아지면 엥겔지수는 올라가는 특징을 가진다. 우리나라의 경우 저소득층 엥겔지수가 해마다 높아지고 있는 추세다.

일반적으로 엥겔지수가 50%이상이면 후진국, 30~50%면 개발도상국, 30%이하면 선진국이라고 한다.

 

통계청에 따르면 소득 하위20%의 엥겔지수는 2004년 20.8%이후, 8년 만인 2013년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반면에 소득 상위 20%의 엥겔지수는 11.83%에서 11.59%로 오히려 낮아졌다.

이는 심각한 양극화의 단면을 보여주는 예다. 저소득층 엥겔지수가 고소득층보다 2배 정도 높다는 것은 먹는 데에 있어 서민들의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는 얘기이기 때문이다.

저소득층 엥겔지수가 오른 것은 식료품 물가가 상대적으로 많이 올랐기 때문이다. 특히 파급효과가 큰 밀가루 값이 오르면서 제과·제빵·라면류는 물론 외식업계의 음식메뉴까지 줄줄이 인상됐다.

또한 소득은 제자리인데 전세가격, 공공요금 등도 높은 상승세를 보이고 있고, 가계부채 또한 늘어 서민들이 느끼는 체감물가 수준은 높아졌기 때문이다.

저소득층 엥겔지수를 낮추기 위해서는 최우선 대책으로는 먼저 물가안정을 꼽을 수 있다.

또한 경기부양 정책, 일자리고용 확대, 부동산시장 안정 등을 통해 경기를 회복시키는 노력을 강화해야 한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코리아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