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필용 사건 

[코리아데일리] 윤필용 사건이 42년만에 재심에서 무죄로 판명남에 따라, 윤필용 사건을 역사 교과서에 실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윤필용 사건이 독재 시절 권력의 입맛에 따라 기획된 폭력임이 밝혀진 만큼 자라나는 학생들에게 이런 사실을 반드시 가르쳐야 한다는 것이다.

윤필용 사건은 1973년 쿠데타 모의 혐의로 당시 수도경비사령관이었던 윤필용과 장성·장교 등 13명을 처벌한 사건으로, 한국 현대사의 권력 스캔들로 꼽힌다.

1973년 4월 당시 수도경비사령관이었던 윤필용(尹必鏞, 1927.3.10~2010.7.24)이 중앙정보부장 이후락에게 '박정희 대통령은 노쇠했으므로 형님이 후계자가 되어야 한다'라는 발언을 했다는 이유로 윤필용과 그를 따르던 군간부들이 쿠데타 모의 혐의로 구속되어 처벌받은 사건이다.

박종규 경호실장을 통하여 윤필용의 발언 내용을 전해 들은 박정희 대통령이 강창성 보안사령관에게 철저한 수사를 지시하였고, 결국 육군본부 보통군법회의에서 재판이 열렸다.

 

쿠데타 모의 혐의를 입증하지 못하자 업무상횡령·수뢰·특정범죄가중처벌법 위반·군무이탈 등 8개의 죄목을 적용, 윤필용을 비롯하여 수도경비사령부 참모장 손영길 준장, 육군본부 진급인사실 보좌관 김성배 준장 등 장성 3명과 육본 진급인사실 신재기 대령 등 장교 10명에게 1~15년의 징역형을 선고하였다. 이때 윤필용은 징역 15년형에 벌금·추징금 약 2,600만 원을 선고받았다.

윤필용 사건으로 윤필용과 가까운 장교 30여 명이 군복을 벗었으며, 중앙정보부에서도 이후락과 가까운 울산사단 30여 명이 구속되거나 쫓겨났다. 사건을 수사하는 과정에서 윤필용이 후원자 역할을 한 하나회(전두환·노태우·정호용·김복동 등이 1963년 결성한 군부 내 대구·경북 세력의 비밀조직)의 실체가 밝혀지기도 하였다.

당시 박정희 정권에서는 이후락, 박종규, 윤필용, 강창성이 서로 권력을 견제하는 양상을 보였는데 이후락과 윤필용이 가까워지자 권력의 균형이 깨질 것을 우려한 박정희가 윤필용과 그 추종세력을 제거한 사건이라는 해석도 있다.

제4공화국(유신체제) 박정희 정권 내의 권력 향배에 큰 영향을 끼친 사건으로서 이후락 중앙정보부장은 이 사건으로 인해 권력의 눈 밖에 나게 되었고, 다시 대통령의 신임을 얻기 위하여 도쿄에서 김대중을 납치하는 무리수를 둠으로써 정치적 몰락을 길을 걷게 되었다. 사건 관련자 중 일부는 재심을 통하여 명예를 회복하였다.

윤필용 사건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코리아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