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리아데일리= 이규희 기자 ]

우리나라의 유엔 안보리 비상임 이사국 임기가 31일로 종료된다.

▲ 우리나라의 2013∼2014년 이사국 임기 기간에 안보리에서는 결의 110건, 의장성명 50건, 언론성명 834건 등이 채택됐다. 안전보장이사회 전체회의 (자료사진)

우리나라의 2013∼2014년 이사국 임기 기간에 안보리에서는 결의 110건, 의장성명 50건, 언론성명 834건 등이 채택됐다. 이 과정에서 우리나라도 이사국으로 적극적으로 활동, 국제 평화와 안전 유지에 이바지했다는 것이 우리 정부의 평가다.

이 기간 채택된 결의 가운데 2087호와 2094호는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 발사와 3차 핵실험에 대응해 채택된 것이다. 미국과 중국 등 상임이사국 중심으로 이 결의가 만들어지는 우리나라도 이사국으로 개입했다.

국제사회의 중요 관심사로 대두한 북한 인권 문제가 지난 22일(현지시간) 유엔 안보리에서 의제로 채택될 때도 우리나라는 이사국으로 회의장에 있었다. 우리나라는 미국 등 다른 이사국과 함께 지난 5일 안보리 의장국에 의제 채택을 요청하는 서한을 보내기도 했다.

일련의 이런 활동들은 지난 2년간 한반도 문제의 당사자로 우리 입장을 직접 유엔 안보리에 적극 반영했음을 의미한다.

유엔 핵심 기구인 안보리의 비상임 이사국 임기가 올 연말 종료되면서 내년 1월부터는 우리나라의 유엔 외교 무대가 급속히 축소될 가능성이 있다.

이를 만회하기 위해 정부는 일단 북핵 문제와 관련, 상임 이사국인 미국, 영국, 프랑스와 이번에 새로 비상임 이사국으로 활동을 시작하는 스페인, 뉴질랜드 등 우방국의 협력을 받는다는 계획이다.

정부 고위당국자는 26일 "북한 도발시 안보리에서 자동적으로 논의할 수 있는 조치를 강화하고 있으며 우방 이사국과 협력 메커니즘을 이미 구축했다"고 말했다.

  또 북한 인권 문제와 관련해서는 유엔 무대의 공개 토의 등의 자리에 참여해 우리의 입장을 국제사회에 알린다는 계획이다.

이밖에 내년 중에 유엔 개발협력포럼(4월), 세계교육포럼(5월), 유엔 창설 70주년 국내 행사(10월) 등의 국제 행사를 통해 국제문제에 대한 우리의 관심을 표명하고 지속적인 기여 의지를 천명할 예정이다.

그러나 내년 1월부터 안보리 이사국의 구성에 북한 문제에 대해 우호적인 이사국이 현재보다 늘면서 안보리 차원의 북한 문제 논의에 우리 입장을 반영하기가 더 어려워질 것이란 분석도 있다.

비상임 이사국으로 내년 1월 임기를 시작하는 베네수엘라, 말레이시아, 앙골라 등이 북한에 비교적 우호적 태도를 보이고 있다.

이와 함께 안보리에서 중요한 이슈는 이사국끼리 비공개로 논의하기 때문에 비(非)이사국의 경우 회의 내용을 사후에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밖에 없는 것도 한반도 문제에 대한 우리 입장 반영을 어렵게 하는 요소다.

우리 정부가 15년에 한 번 정도 이사국으로 진출하는 내부 방침을 가진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우리나라는 1996∼1997년에 처음으로 안보리 비상임 이사국을 맡았으며 2028∼2029년 임기의 비상임 이사국에 진출하기 위해 현재 입후보한 상태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코리아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