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리아데일리 윤민서 기자]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이 이달 말 양적완화 종료가 확실해졌다.

미국의 양적완화가 종료 후 금융시장에 풀어놓은 달러를 회수하기 시작하면 국내에 투자한 자금이 급속도로 빠져나가 금리 인상이 불가피해져 주택담보대출 등 가계 이자 상환 부담이 가중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양적완화는 초저금리 상태에서 경기를 부양하기 위해 통화를 늘리는 것으로 국채, 모기지담보부채권(MBS) 등을 사들여 시장에 통화량 자체를 늘리는 통화정책.

지난 2008년 9월부터 3차에 걸쳐 진행된 양적완화로 현재까지 미 금융시장에 풀린 돈은 모두 약 4조달러(약 4000조원)에 달하며, 이것은 한국 국내총생산(GDP)의 4배에 달하는 돈이다.

만약 미국 연준이 국채 구매 등을 줄이면 매수 주체가 줄어들어 미국 국채금리는 상승하고 자연스럽게 국내 머물던 자금이 수익을 따라 미국으로 이동하게 되어, 매수 주체가 줄어든 국내 채권금리 역시 오르게 된다.

이는 국내 대출·예금금리 동반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올라간 시장금리는 이자 상승으로 부채상환액을 키워 1000조원에 달하는 가계부채 부담을 가중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한국감정원은 올해 초 ‘미국 양적완화가 축소가 부동산시장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를 통해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지난해 말부터 양적완화를 축소한다면 국내에서는 이자율이 올라가고 국내 주택가격을 떨어뜨릴 수 있다고 전한 바 있다.

이에 이자가 오르면 변동금리로 주택담보대출을 많이 받은 국내 가계는 이자상환과 부채부담이 더 커질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다.

박기정 한국감정원 연구위원은 “이자율 상승이 매맷값 변동에 미치는 효과는 1% 미만 수준”이라며 “주택담보대출자 이자 상환과 부채 부담 증가로 가계 부실 은행의 원금회수 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고 전했다.

감정원은 이자율이 1% 상승하면 매맷값은 4개월 후 0.015% 하락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주택담보대출 이자 부담이 커지면 연체율이 늘고 이는 급매물 상승으로 이어질 것으로전망된다.

이에 전셋값은 3개월 후 0.034%, 월세도 2~3개월 후 0.016% 각각 떨어질 수 있으며, 집주인이 이자 상승 부담을 세입자에게 전가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한편 함영진 부동산114리서치센터장은 “양적완화가 본격화하면 하우스푸어 채무상환 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다”며 “이들의 집이 경매로 나오는 빈도가 잦아지며 전체 부동산 시장이 냉각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코리아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