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영선 전 원내대표

정치적 '부활' 순탄치 않을 듯…세월호법 타결은 의미 커

[코리아데일리 이상규 기자]

새정치민주연합 박영선 원내대표가 2일 자진사퇴를 선택하며 제1 원내지휘봉을 내려놓으면서 이를 지켜보는 국민들의 마음은 찹찹하다.

박 원내대표의 퇴진은 지난 5월8일 원내대표직에 오른지 147일만이자 지난달 17일 탈당 파동 끝에 비대위원장직을 그만두고 당무에 복귀한 시점으로 따져서 15일만이다.

박 원내대표는 제1야당의 첫 여성 원내대표라는 타이틀로 주목받으며 화려하게 등장했지만 5개월만에 스스로 평의원의 길을 선택하는 불운의 정치여정이 된 셈이다.

"책임이란 단어에 묶여 소신도 체면도 자존심도 다 버리고 걸어온 힘든 시간이었다."그의 사퇴를 알린 문장에서 모든 것이 함축되어 있다.

당초 새정치연합 내에서는 박 원내대표에 대한 기대감이 상당했다.

▲ 더나는 박영선 전 원내대표
지난 1년간 원내지도부가 국가정보원 특검 등 주요 현안을 주도하지 못한 점을 들어 의원들 상당수가 박근혜 정부와 여당에 맞설 수 있는 강단있는 원내대표를 원했고 그렇게 선택받은 사람이 바로 박영선 의원이었기 때문이었다.

여기에 7·30 재보궐선거 참패로 흔들리는 당을 재건하고 혁신할 비상대책위원장으로 추대되는 등 자신의 정치적 입지를 착실히 다지고 있었다. 그러나 비상대권을 이어받은 순간부터 박 원내대표의 가시밭길이 시작됐다.

그 시작은 세월호특별법 합의과정이었다. 새누리당 이완구 원내대표와 두차례의 합의안을 도출했지만 세월호유가족과 당내 반발로 박 원내대표의 입지는 점차 왜소하게 느껴졌다.

특히 이상돈 중앙대 명예교수의 비대위원장 영입 무산 파동 등을 거치며 당은 극심한 내홍을 겪고 혼돈 상태에 빠져들었다. 독단적 리더십이 큰 반발을 몰고 온 것이다.

이 같은 일련의 사태로 박 원내대표의 리더십과 당 장악력은 축소됐고 이를 기회로 삼은 일부 의원들의 사퇴촉구는 더이상 회복불능의 상태까지 도달하기에 만들었다.

이 과정에서 자신을 지지해준 강경파 그룹 등이 등을 돌리며 사면초가에 처했다.

▲ 박영선 원내 대표의 공석으로 자리가 빈 새정치민주연합 원내 대표실
박 원내대표는 비대위원장 영입 무산 파동 와중에 당 강경파를 중심으로 사퇴 주장이 거세지자 '탈당 검토'라는 승부수를 꺼내들었다. 그러나 극단적인 승부수 카드는 '세월호 협상 수습 때까지'를 기한으로 정한 '시한부 원내대표'라는 결과만을 안겨줬다.
앞으로 박 원내대표는 당분간 시련의 시기를 보낸 뒤 재기를 노릴 것으로 보이지만 전망은 그리 밝아 보이지 않다.

정계의 한 전문가는 “‘원내수장’으로서 적잖은 한계를 드러냈고 운신의 폭도 극도로 좁아진 상황이라 정치적 부활이 순탄치만은 않을 것으로 보인다”면서 “그러나 박 원내대표가 그동안 당내 큰 논란에도 불구하고 세월호법 문제를 지난 30일 새누리당과 최종 타결지은 것은 상당한 성과라 할 수 있어 회복을 쉽지는 않지만 그렇다고 비관적인 것은 아니다”고 말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코리아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