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리아데일리 김의도 기자]

국내에서는 생소한 비트코인 이 네티즌에게 화제다.

비트코인은 2009년 발행을 시작한 가상 디지털 화폐이다.

2009년 1월 사토시 나카모토라는 필명의 프로그래머가 개발한 비트코인은 실제 생활에서 쓰이는 화폐가 아니라 온라인 거래상에서 쓰이는 가상화폐이다.

비트코인은 2008년 사토시 나카모토라는 정체불명의 인물이 각국의 중앙은행이 화폐 발행을 독점하고 자의적인 통화정책을 펴는 것에 대한 반발로 고안해 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컴퓨터가 제시하는 매우 난해한 수학 문제를 풀면 그 대가로 비트코인을 지급하는 작동방식으로, MIT 라이선스를 적용해 오픈소스로 공개했다.

컴퓨터 운영체제(OS)인 리눅스처럼 비트코인 역시 프로그래밍 설계도가 공개되어 있어서 개발자라면 누구나 프로그래밍 업그레이드에 참여할 수 있다.

비트코인을 만드는 과정은 광산업에 빗대어 ‘캔다’(mining)라고 하며 이러한 방식으로 비트코인을 만드는 사람을 ‘마이너’(miner), 즉 '광부'라고 부른다.

2009년부터 캐기 시작해, 2014년 3월 현재까지 약 1200만 비트코인을 캤다. 처음 설계 당시 2145년까지 총 2100만 비트코인만 캘 수 있도록 설정했으므로 앞으로 약 800만 비트코인을 캐면, 비트코인은 고갈된다. 광부가 아닌 사람은 돈을 주고 비트코인을 구입해 거래할 수 있다.

비트코인에서는 계좌를 ‘지갑’이라고 부르는데 지갑마다 숫자와 영어 알파벳 소문자, 대문자를 조합한 약 30자 정도의 고유한 번호가 붙여져 있어 공개 키 암호 방식 기반으로 거래를 수행한다.

 
비트코인은 스마트폰이나 컴퓨터 등 전자지갑을 사용할 수 있는 곳에서 계좌를 만들 수 있고, 계좌를 만들면 인터넷상에서 한 쌍의 암호키가 생성된다. 암호키 하나는 본인만 확인할 수 있는 개인 키로 단말기를 통해 가지게 된다.

나머지 암호키 하나는 비트코인을 사용하는 모두에게 공개돼 있는 암호키이다. 예를 들어 비트코인 사용자가 물건을 사기 위해 개인 암호키로 전자서명을 했다고 하면 이때 비트코인을 사용하는 다른 사용자들은 공개 암호키를 통해 전자서명을 한 사람이 암호키의 주인이 맞는지를 검증할 수 있다. 이러한 전자서명과 검증 과정이 계속 반복되면서 거래가 이뤄지는 체계이다.

한 사람이 다수의 지갑을 만들 수 있으며 개수에 제한이 없다. 지갑을 만들 때는 개인식별정보가 필요하지 않고 특정 국가나 발행주체의 관리도 받지 않으므로 익명성이 보장되는 한편 누구나 접속하고 들여다볼 수 있는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이기 때문에 공개성도 동시에 가진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익명성이라는 점 때문에 불법거래에 악용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고 지적한다.

이런 가운데 미국 뉴욕 주 정부가 온라인 가상화폐인 비트코인이 돈세탁이나 마약 밀매 등 불법 행위에 악용되는 것을 막기 위한 규제안을 내놨기 때문이다.

미국에서 비트코인에 대한 구체적인 규제안이 발표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미국 금융감독청(DSF)이 이날 발표한 규제안을 보면, 앞으로 상업 목적으로 비트코인을 사용하려면 해당 법인은 주 정부로부터 ‘비트코인 허가증(Bit license)’을 받아야 한다.

뉴욕에서 비트코인 교환 활동을 포함한 사업을 벌이면 주 정부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는 것이다. 개인 자격으로 비트코인을 거래할 때는 주 정부로부터 따로 허가를 받지 않아도 된다.

 
뉴욕 주 정부는 올해 초부터 비트코인 규제를 위해 공청회를 거쳐 연구를 진행해왔다. 앞서 중국, 프랑스, 러시아 등 주요국 금융당국은 가파르게 오르는 비트코인에 제동을 걸고 나선 바 있다.

비트코인 업계에서는 주 정부의 이 같은 규제가 비트코인의 발전을 가로막을 것이라며 반대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고 AP통신은 전했다.

기업의 수익을 비트코인을 남겨 두는 데 부담을 느낄 수 있는데다 비트코인 거래 기록이 발생한 주소를 남겨야 한다는 내용은 비트코인 본래 취지와 맞지 않다는 이유에서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코리아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